어떤 분들은 파워링크 광고에 대해서 이렇게 말씀합니다.
"파워링크 광고 안 좋던데. 돈만 빠져나가고 성과가 안 좋다던데,, 키워드 광고 성과가 안 좋던데.." 하지만 네이버 파워링크 광고는 "경쟁 입찰"입니다. 즉, 많은 사람들이 빠져나가고 경쟁이 줄어들수록 유리한 조건으로 광고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부동산이나 주식을 오래 하신 분들은 아실 겁니다. "지금 사면 망한다" "지금이 위험하다" 이런 말들이 많이 나올 때 오히려 기회가 되고 수익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요.
오늘은 자신의 브랜드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서 광고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광고 설정하는 방법과 키워드 광고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키워드 광고 세팅방법 5단계
키워드 광고는 총 5가지 순서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프리미엄 로그분석 설치
2. 캠페인/ 그룹/ 검색어 설정
3. 확장소재 설정
4. pc와 mo(모바일) 분리
5. 입찰가 설정
이렇게 5가지입니다. 순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 프리미엄 로그분석 설치
프리미엄 로그를 설치하지 않고 키워드 광고를 하게 된다면 상품이 팔렸음에도 불구하고 전환매출액이 "0"원이 됩니다.
때문에 꼭 프리미엄 로그분석을 설치해주셔야 합니다. 설치방법은 간단합니다.
(1) 네이버 광고 시스템에 들어가세요.
좌측 상단을 보시면 "도구"가 보입니다.
도구-> "프리미엄 로그분석"을 눌러 주세요.
(2) 서비스 신청 가능 사이트를 눌러주세요.
채널 부분이 웹사이트로 되어 있는 부분에 오른쪽 신규 신청을 눌러주세요.
동의를 해주신 다음 기술담당자라고 나오는 부분에는 대표님의 인적사항을 적어주세요.
설치 구분은 "자가", 설치유형은"웹사이트" , 전환유형에는 "구매완료"를 적어주세요.
끝으로 위 내용을 모두 읽고 확인했다는 부분에 클릭해 주세요.
이렇게 "확인했습니다" 부분까지 체크해 주시면 프리미엄로그 분석을 제대로 설치완료한 것입니다.
2. 키워드 광고를 만들어 보세요.
(1) 캠페인 만들기
광고시스템 좌측 상단에 광고 만들기를 클릭해 주세요.
캠페인 이름은 쉬운 것으로 아무것이나 써주셔도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하루 예산과 균등 배분할지 여부인데, 하루예산은 말 그대로 하루동안 얼마만큼 광고비로 지출할 것인지 정하는 것이고 그 아래 "균등하게 배분합니다"에 체크하는 항목이 있는데 실제로 사용해 본 결과 균등하게 배분한다면 광고가 나왔다 안 나왔다 하는 것이기 때문에 효율이 대체로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때문에 균등배분에는 체크를 안 해주시고 되도록 일반노출로 등록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2) 광고 그룹 만들기
두 번째 단계인 광고그룹 만들기입니다.
광고그룹 이름은 캠페인 이름처럼 자신이 알아보기 쉬운 것으로 만들어주세요.
그 아래 url은 나의 대표 url을 넣어주면 됩니다. 기본 입찰가는 광고를 세팅한 후 한 번에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일단 그대로 두세요. 하루 예산도 캠페인 만들기에서 설정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설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자, 여기 단계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많은 분들이 놓치는 고급옵션기능을 꼭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고급 설정을 눌러보시면 매체, 지역, 요일, 시간, 콘텐츠매체 전용입찰가 등등 여러 가지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다른 것들은 다 무시하시고 매체 부분을 제대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네이버는 수십, 수백 개의 제휴매체가 있습니다. 판매와 연관 없는 업체들이 수두룩 합니다. 만약 판매와 연관 없는 매체들에 광고가 나가면 어떻게 될까요?? 효율이 크게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키워드를 설정하실 땐 꼭 매체설정을"필수적"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 매체설정 하는 방법>
1. 노출매체 유형선택을 선택해 주세요.
2. 파트너매체/콘텐츠매체 모두 제외시켜 주세요.
3. zum pc/ mo를 체크해 주세요.
이렇게 하시면 네이버 및 검색 포털매체에만 나의 광고가 노출되게 됩니다.
(3) 광고 만들기 (키워드/소재)
키워드 추가하기에 원하는 키워드를 넣어주세요. 키워드를 넣어줬다면 하단에 제목/ 설명 부분을 기입해 주시면 됩니다.
이때 스마트스토어명이 꼭 포함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꿀팁 한 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키워드 삽입 기능이 있습니다. 이건 소비자들이 검색한 키워드로 제목, 설명 부분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것입니다.
키워드 삽입 기능은 정말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기 때문에 꼭 한번 주의 깊게 읽어보시고 사용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제목, 설명 부분을 작성해 줬다면 연결 url을 꼭 설정해주셔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놓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연결 url은 내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url을 넣어주는 것입니다. 만약 여기에 대표 url을 넣게 되면 스마트스토어 홈탭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그러면 소비자들은 다시 상품을 찾아야 되니 이탈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상품 url을 기입해 주세요.
3. 확장소재
확장소재 세팅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만들어둔 캠페인의 확장소재를 클릭하신 다음 새 확장소재를 눌러주시면 여러 가지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제가 추천하는 확장소재는 파워링크 이미지/ 추가제목/ 가격링크 이렇게 3가지입니다.
위쪽 사진을 보시면 추가제목, 이미지, 가격링크가 나온 것을 제가 표시한 것입니다.
파워링크 이미지는 제목 좌측에 노출되며 추가제목은 제목 우측에 노출됩니다. 가격링크는 설명문구 밑에 노출되게 됩니다.
만약 이렇게 3가지를 설정하지 않게 되면 당연히 광고가 눈에 덜 띄게 되는 것입니다. 눈에 덜 띄게 되면 어떨까요? 당연히 클릭률이 저조해지고 매출이 떨어지게 됩니다. 매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위 말씀드린 3가지를 꼭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4. pc와 모바일 분리시키기
네이버는 경쟁입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모바일은 상대적으로 입찰가가 비싸고 pc는 저렴합니다. 때문에 pc와 모바일을 분리시켜 줘야 합니다. pc와 모바일을 분리시켜 광고를 노출시키면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pc와 모바일 분리시키는 방법>
1. 그룹을 복사해 주세요. 그룹을 복사하는 방법은 캠페인을 눌러주시고 좌측에 "빈 공란"을 클릭 -> "선택한 광고그룹"클릭->"다른 캠페인으로 복사" -> 기존 만들었던 캠페인에 클릭-> 복사를 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만들면 하나의 새로운 광고그룹이 생성되게 됩니다.
2. 그룹 위쪽을 pc / 아래를 mo(모바일)로 바꿔주세요
3.pc그룹-> 노출매체 선택->pc로 바꿔주세요. 수정한 후 저장을 눌러주세요.
4. mo그룹-> 노출매체선택->mo로 바꿔주세요. 똑같이 저장을 눌러주세요.
이렇게 수정해 주시면 pc와 모바일 입찰가를 따로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입찰가 수정하기
1. 광고그룹을 눌러주세요.
2. 좌측 네모박스(체크 부분)를 클릭해 주세요.
3. 메뉴 위쪽에 입찰가 변경을 눌러주세요.
4. 내가 원하는 노출 순서가 있다면 개별변경에서 순서를 정한 뒤 저장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5. 만약 반대로 내가 입찰하고자 하는 "입찰가"가 있다면 입찰가변경->"일괄변경"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입찰가를 적어주시고 변경사항 확인->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광고할 때 팁-
키워드 광고의 경우 pc는 10위/ 모바일은 3~4위 정도 노출시켜야 어느 정도 클릭이 됩니다. 만약 그 이하로 입찰가(순위)를 설정하게 되면 더 보기를 클릭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다음페이지까지 보는 더 보기를 클릭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성과가 좋은 키워드의 경우 공격적으로 밀어주시고 성과가 안 좋은 키워드의 경우 과감히 광고비를 내려주시거나 off 처리를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오늘은 파워링크 광고 설정하는 방법과 키워드 광고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제품을 홍보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저는 앞으로도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창업이 망하는 이유 / 사업이 실패하지 않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을 준비해 봤습니다. 당연히 창업해서 성공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창업 실패를 겪습니다. 때문에 이런
sunyinam.tistory.com
개인사업자 절세하는 방법 / 셀프 비용처리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인사업자 분들이 절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혹시라도 아직 절세의 중요성을 잘 알고 계시지 못하거나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에게
sunyina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