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네이버 부동산을 활용하여 아파트, 빌라를 매수할 때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네이버 부동산 아파트 구매할 때 활용방법
1. 먼저 먼저 네이버 부동산 사이트에 들어가세요.
2. 거래방식을 매매, 월세, 전세 중에 매매로 바꿔주세요. 만약 월세나 전세를 원하시면 원하는 것으로 체크해 주면 됩니다.
3. 아래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동그라미 친 것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동그라미로 체크한 곳들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동일매물 찾기를 체크해 주시면 비슷한 매물끼리 묶어서 보여주기 때문에 한눈에 확인하기 쉽습니다. 보시면 동일매물 찾기에 체크가 되어 있고, 아래 초록색으로 표시된 "집주인" 마크에 제가 동그라미를 그려놨는데 이렇게 "집주인"표시가 되어 있는 매물은 집주인이 부동산과 서로 협의해서 가격을 정한 뒤 물건을 올렸다는 의미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해당 매물 아래 같은 동 호수인데 가격이 다른 것이 보입니다. 이처럼 같은 매물이어도 가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왜냐면 집주인과 최종적으로 협의되지 않았는데 예전에 다른 곳에서 올린 매물들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물을 확인하실 땐 이렇게 2가지를 한꺼번에 체크해서 확인하신 후 매물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 다음으로 단지 정보 쪽을 보시면 총 몇 층으로 되어 있는지 나오고 그 아래 주차대수도 나오기 때문에 이 부분도 꼭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주차 문제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데 주차가 필요한 분들의 경우 주차가 잘 되는지 꼭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해당 매물 주변을 거리뷰로 확인해 보세요.
괜찮은 매물을 발견했으면 오른쪽 제가 표시해 둔 곳에 "거리뷰"라는 메뉴가 있는데 이것을 클릭하셔서 거리뷰를 확인해 주세요. 보시면 파란색으로 표시된 길들이 사진에 보이는데 이것들이 거리뷰로 확인 가능한 곳들입니다.
하나씩 주변을 직접 보는 건 너무 체력소모가 크기 때문에 먼저 거리뷰를 통해서 대략적인 느낌이나 주변 분위기를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지 체크를 없애고 학군을 표시해서 주변 학교를 파악해 주세요.
단지를 눌러놓은 상태에서는 너무 지저분하게 나오기 때문에 보기 힘듭니다. 잠시 단지를 한번 더 클릭해 주시면 주변 단지 정보들이 없어지는데 이렇게 하고 나서 학군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해당 지역 주변 학교들이 나오게 됩니다. 학교로 표시된 곳을 클릭하면 학급당 학생수, 교사당 학생수뿐만 아니라 학년별로 몇 명이 있는지도 자세히 나오게 됩니다.
물론 이것뿐만 아니라 아래쪽에 "편의"를 눌러주게 되면 어린이집, 지하철, 병원, 주차장, 편의점, 마트, 세탁소, 은행, 관공서 같은 건물들 위치 정보도 알 수 있으니 꼭 활용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최근 지하철 정보도 확인할 수 있어요.
지하철도 정말 중요하죠. 개발을 누르게 되면 아직 지하철이 완공되어 있지 않지만 개발 중이거나 개발 완료 시점이 나오게 됩니다. 보시는 사진에는 gtx-b(인천대입구마석), 도림사거리역, 신안산선(한양대역) 같은 정보들도 나와 있습니다. 개발 중인 정보들도 활용하셔서 앞으로의 가치가 어떻게 변할지 미리 예측할 수도 있습니다.
빌라 매수할 때 네이버 부동산 활용방법
아까 전과 마찬가지로 동일매물 묶기, 집주인 확인이 되어 있는 매물 위주로 알아봅니다.
그다음 사진이 나와있는 매물은 보기가 좋지만 사진이 안 나와 있는 곳은 어디가 어딘지 모르니 로드뷰를 활용합니다.
물론 빌라는 아파트처럼 정확한 시세를 한 번에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약간 다른 방식으로 알아봅니다.
거리뷰를 활용해서 언덕이 높은지 확인합니다.
빌라의 경우 언덕에 위치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꼭 거리뷰를 활용해서 주변 지대가 어떤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변에 낙후한 곳이 많은지 등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주소가 나왔다면 해당번지 공시지가를 확인해서 대략적인 가격을 파악합니다.
물론 같은 평수라 하더라도 건물 연식이나 건물이 북쪽인지 남쪽인지, 대로를 가로지르는지, 언덕이 있는지, 또 길이 넓은지 좁은지 등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해서 가격이 차이 나긴 하지만 대략적인 가격을 예상해 볼 수는 있습니다.
빌라를 검색하다 보면 주소가 나오거나 해당 주소가 나오지 않더라도 대략적인 위치가 나오면 로드뷰를 통해서 근처 건물들의 주소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알아낸 주소를 가지고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를 통해서 가격을 알아보면 됩니다.
아래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라는 국토교통부가 담당하는 사이트입니다.
네이버 검색창에서 "빌라 공시지가 조회"라고만 검색하셔도 나옵니다.
https://www.realtyprice.kr/notice/town/nfSiteLink.htm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멸실 등으로 주소가 변경된경우, "공시기준일 검색"선택 후, 변경 전 주소로 조회하십시오.] [멸실 등으로 주소가 변경된경우, "공시기준일 검색"선택 후, 변경 전 주소로 조회하십시오.]
www.realtyprice.kr
공동주택가격 열람에서 공시지가를 확인해 보세요.
해당 사이트의 검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시/도를 선택해 주세요.
2. 시/군/구를 선택해 주세요.
3. 도로명 주소를 선택하신 뒤 단지명을 검색해 주세요. 그러면 몇 호인지 나오는데 원하는 평수의 해당호수를 검색해 주세요.
4. 공시지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자료는 공동주택공시가격 자료입니다. 정보 보호를 위해서 제가 단지명과 몇 호인지만 지웠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해당 건물의 공시지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빌라의 매매가는 공시지가의 60~80% 정도입니다.
예를 들어 위쪽 자료를 토대로 대략적인 가격을 측정했을 때는 1억 4천8백 x(곱하기) 1.2~. 14= 1억 7천7백~2억 7백
정도로 나오게 됩니다. 대략적인 시세입니다. 별것 아닌 것 같아 보여도 아무것도 모르고 빌라를 찾는 것보다 이처럼 조금이라도 주변 조사를 하고 물건을 구하게 되면 좀 더 저렴하게 매수할 수도 있고 최소한 말도 안 되는 부풀린 가격으로 뒤통수를 당하는 일이 조금 줄어들지 않을까 싶어 이렇게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아파트, 빌라 구할 때 네이버 부동산을 활용해서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앞으로도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로 찾아뵙겠습니다. 오늘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라도 다른 부동산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제 다른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중학교, 고등학교 배정 학교 알아보는 방법/ 학교 등수 확인 하는 방법
중학교, 고등학교 배정 학교 알아보는 방법/ 학교 등수 확인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이 되는 학부모님들께 도움이 되는 내용인 것 같습니다. 제 아이들이 내년이면 중학생이 되기 때문에 어느 학교에 갈지 궁금해져서 이것저것 알아보다
sunyinam.tistory.com
월세 계약 시 주의사항 10가지 / 사회초년생 월세 구할 때 알아둘 팁
월세 계약시 주의사항 10가지 / 사회초년생 월세 구할 때 알아둘 팁
안녕하세요. 대학을 다니면서 자취를 하거나 사회 초년생이 되어 직장생활을 하게 될 때 월세방을 구하게 되는데요 이런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오늘은 월세 계약 시
sunyinam.tistory.com
부동산 하락장에서 급매물 잡는 방법 / 부동산 매물 싸게 사는 팁
부동산 하락장에서 급매물 잡는 방법 / 부동산 매물 싸게 사는 팁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처럼 부동산 하락시기에 급매물 잘 잡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매도자나 공인중개사 분들이 납득할만한 금액을 제시해 주세요. 예를 들어 부동산이 하락
sunyinam.tistory.com
부동산 경매 초보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경매에 필요한 것들
부동산 경매 초보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경매에 필요한 것들
초보 경매 투자자가 부동산 경매를 시작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오늘은 이 문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경매는 움직일 수 있는 종잣돈 안에서 모든 물건을 보는 것이 정답
sunyinam.tistory.com
공인중개사 시험을 빠르게 통과하는 노하우/시험 전 꼭 알아야 될 사항
공인중개사 시험을 빠르게 통과하는 노하우/시험 전 꼭 알아야될 사항
안녕하세요. 오늘은 공인중개사 준비를 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을 준비해 봤습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을 어떻게 하면 빠르게 통과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공인중개사 시험
sunyina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