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현재 커피 전문점을 운영하는 사장님께서 직접 인터뷰하신 내용을 토대로 저가커피를 하루 80만 원 팔았을 때 한 달 순수익이 얼마나 남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란 커피(컴포즈커피, 메가커피)의 양대산맥 순수익은?
먼저 커피 전문점의 평균 매출액을 알아보기 위해서 가맹점사업자의 평균 매출액이 나온 자료를 살펴봤습니다.
21년 기준으로 메가커피 매장 1년 평균 매출액이 3억 2천89만 원이고 컴포즈 커피의 경우 2억 5천70만 원이었습니다.
매가커피가 조금 더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추가로 공정거래위원회가 8일 발표한 "2023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를 살펴보면 2022년 말 기준으로 이디야가 전국 3005개로 1위였고 그 뒤를 이어 메가커피(2156개), 컴포즈커피(1901개)였습니다.
그렇지만 이디야는 애매한 포지션 때문에 점차 사라지는 분위기이고 메가커피나 컴포즈 커피는 저가커피란 인식 때문에 꾸준히 매장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일 평균 매출은 80만 원
21년보다 몇 년 흐르긴 했지만, 매출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으로 가정하고 21년 매출 기준으로 일 평균 매출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328,912,000(메가커피 평균 매출)+ 250,746,000(컴포즈 연매출)/2 = 289,829,000원/ 365일 = 794,000원
그럼 반올림해서 80만 원으로 잡고 배달매출을 제외한 홀 영업만 했을 경우 한 달 순수익은 얼마일까요?
순수익 계산해 볼게요
하루 14시간 영업기준(08시~22시) 총매출: 80만 원 x30.4일=2,432만 원
여기서 마진율을 곱해줘 보겠습니다. 저가 커피의 경우 재료비를 평균 35% 정도로 계산하는데 여기서 점주분들이 재료 관리를 조금만 소홀해도 40% 정도까지 재료비가 나가기 때문에 약 38% 정도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그럼 마진율은 약 62% 정도입니다.
그럼 다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2,432만 원 x0.62(재료비 뺀 마진율)=1,507만 원
그럼 여기서 빼줄 비용들을 하나씩 빼줘 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월세를 빼겠습니다. 저가 커피의 경우 자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적게는 250만 원에서 많게는 400만 원 정도의 월세를 내는 점포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보수적으로 250만 원 정도로 잡고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1,507만 원-250(월세)=1,257만 원
그런데, 더 크게 빠지는 비용이 있습니다. 바로 인건비인데요 커피는 시간당 7만 원 정도만 팔아도 혼자서 쉴 새 없이 일해야 합니다. 그런데 7만 원이 넘어가게 되면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최소 2명은 근무를 해줘야 원활하게 돌아갑니다.
처음 매출이 80만 원이라고 말씀드렸는데 그 정도 매출이 나오려면 상시 2명은 있어야 합니다.
한 달 인건비: 14시간(08시~22시) x30.4일(한 달) x최저시급 9,860=4,196,416원입니다.
이건 주휴수당 및 퇴직금을 제외한 단순 시급으로 계산을 했을 때 기준이고요 2024년 기준 주휴수당(12,048원)을 곱하면 더 크게 변합니다.
14시간 x30.4일 x12,048원=5,127,628원입니다. (참고로 2년 전 계산했을 땐 491만 원 정도 나왔는데 현재는 512만 원으로 약 21만 원 정도 더 나왔네요) 여기서 2명이니까 곱하기 2를 하면 10,255,265원이 됩니다.
직장인 평균 월급을 벌기 위해 직접 나서야 하는 점주님들
만약 점주분께서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서 본인이 근무를 한다면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요?
주 5일, 하루 9시간 기준으로 한 달 20일을 근무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9x20일 x12,048원=2,168,640 약 216만 원(24년 기준)을 아낄 수 있습니다.
그럼 1025-216=809만 원 (24년 기준으로 약 809만 원을 인건비로 매달 빼줘야 합니다)
*물론 쪼개기 식으로 15시간 미만으로 알바를 쓰거나 점주님 본인이 좀 더 일한다면 인건비는 조금 더 줄일 수 있습니다.
순수익은 얼마일까요?
14시간 영업기준 총매출= 80만 원 x30.4일=2432만 원 x0.62(마진율)=1507만 원-250만 원(월세)=1,257만 원-인건비 809만 원=448만 원
여기서 전기세를 빼줘야 합니다. 전기세는 12평을 기준으로 약 42만 원 정도 나옵니다. 그럼 대략 42만 원으로 잡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448만 원-42만 원=406만 원
여기서 수도세를 빼야 합니다. (-5만 원)=401만 원
여기서 메가커비 한 달 월회비와 광고비를 빼줘야 합니다. 한 달 월회비도 많이 올라서 현재는 20만 원입니다. 광고비는 12만 원으로 잡아보겠습니다. 그럼 총 32만 원을 빼주면 됩니다.
401만 원-32만 원=369만 원
여기서 카드 수수료도 빼줘야 합니다. 매출이 3억 원 이하일 경우 신용카드 수수료율이 0.5% 적용됩니다.
그렇지만 이것도 매출이 3억 원이 넘어가면 1.1%로 2배가 뛰게 됩니다.
요즘 매출의 90% 이상이 카드이기 때문에 카드결제 수수료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총매출 2432만 원 x0.9x0.5%=109,440원
그럼 369만 원-11만 원 빼주면 358만 원 남습니다. 아직 뺄 것이 남았습니다.
전화+인터넷(3만 원), 화재보험(5만 원), cctv(3만 원), 세무사비(8만 원), 기타 잡비용(5만 원)= 334만 원 남습니다.
여기서 처음 우리가 매출 계산을 할 때 21년 기준으로 매출을 했었기 때문에 물가 상승률을 감안해서 1년에 4% 정도 전체 매출이 올랐다고 가정하고 약 12%를 곱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334만 원 x1.12(매년 4% 매출 상승)= 24년 현재 기준으로 최종 순수익 374만 원
그런데,, 아직 여기서 종합소득세와 부가세, 본인 건강보험료를 차감하지 않았습니다. 이것까지 빼주면 더 떨어지겠죠..
그럼 한 달에 약 330~340만 원 정도 벌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주말 제외하고 주 5일 9시간씩 일했을 때를 기준으로요..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창업 비용
메가커피나 컴포즈커피 홈페이지에 가보면 나와 있습니다. 메가 커피의 경우 23년 기준으로 10평으로 창업할 경우 5,730만 원이 들고 15평의 경우 6,500만 원이 듭니다. 컴포즈 커피도 15평 기준으로 약 6천5백만 원 정도 창업비용이 듭니다.
오늘의 결론
생각보다 정말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돈을 못 버는 것 같습니다. 직장 다닐 땐 직장 상사나 동료들에 맞춰서 일만 해도 월급은 나오니까 큰 걱정 안 해도 되는데, 창업하느라 큰 목돈을 들이고 손님이 어느 정도 많아졌다 싶으면 10m 옆에 새로운 커피 매장 생기고,,, 그러면 매출 떨어지고... 스트레스받고.. 정말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흠... 만약 저라면 그냥 직장 다니면서 알바로 부업하면서 6천5백만 원으로 배당주에 넣어서 꾸준한 수익을 노려보거나 경매로 저렴한 부동산을 노려보거나 하는 게 훨씬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경매 고수가 알려주는 경매 비법(대박 좋은 물건 고르는 방법. 실전 사례)
경매 고수가 알려주는 경매 비법(대박 좋은 물건 고르는 방법. 실전 사례)
요즘 부동산 경매 물건들이 많이 올라오는데요 오늘은 경매할 때 좋은 물건 고르는 팁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변경이 자주 되는 물건을 유심히 살펴보세요경매를 보다 보면 다양한 물건
sunyinam.tistory.com
돈 잃지 않는 주식 투자 방법 / 주식 무한 매수 방법
돈 잃지 않는 주식 투자 방법 / 주식 무한 매수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좀 지루하지만 안전하고 돈을 잃지 않을 수 있는 무한 매수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알려드리는 무한 매수 방법은 재미없지만 안전한 매수 방법입니다. 따라
sunyinam.tistory.com
대리부업 2년 차 직장인 대리 후기 / 대리기사 부업 노하우 모음
대리부업 2년차 직장인 대리 후기 / 대리기사 부업 노하우 모음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2년째 꾸준히 하고 있는 대리기사 부업 노하우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물론 저보다 오래 하시고 전업으로 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겠지만, 저는 대리부업과 더불
sunyina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