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공모주 청약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주린이 뿐만 아니라 주식을 오래 하신 분이더라도 공모주에 관심이 없었거나 해본 경험이 없다면 모를 수 있는 내용이라서 중요한 5가지 부분을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공모주 청약의 순서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주식청약)
1. 주관 증권사의 계좌를 만드세요.
2. 기관투자자들의 수요를 예측한 후 공모가와 경쟁률을 확인하세요.
3. 증거금을 마련하세요.
4. 청약을 진행하세요
5. 자신의 증권 계좌에 돈이 환불되는지 확인하세요.
이렇게 총 5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그럼 순서에 따라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증권사 계좌 만들기
공모주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식 계좌를 만들어야 하는데요 만약 어떤 증권 계좌를 미리 만들었더라도 해당 증권사가 공모주에 투자를 하지 않는다면 청약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살펴보셔야 합니다.
(1) IPO를 검색해 주세요.
네이버 금융에서 IPO를 검색해 줍니다. IPO를 검색하시면 위에 나온 사진처럼 보이는데 주관사와 함께 상장일이 언제인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진에 나온 한 종목을 살펴보면 8월 4일은 세빗켐이란 종목이 코스닥에 상장될 예정이고 개인 청약 경쟁률이 1,700:1 정도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주관사가 어디인지 확인해 주세요.
공모주를 살펴보면 주관 증권사가 대부분 1곳이나 2곳 정도에서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해당 공모주의 증권사 어플을 설치하시고 살펴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저의 경우엔 키움증권을 사용하는데 키움증권 어플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경쟁률, 증거금, 청약 입력, 우대 여부 등 여러 메뉴들이 있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증권사마다 다르겠지만 키움증권에서는 아직 청약 가능 종목이 나와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대 1년 기간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우대 여부를 확인하세요.
만약 주관하는 증권사가 2곳 이상일 경우 2곳 증권사의 우대 여부를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왜냐면 각 증권사마다 배정을 받은 수량이 다르고 그에 따라서 개인들이 투자할 수 있는 청약 수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증권사별로 우대조건과 청약수를 잘 비교해보셔서 들어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4) 청약 마감날 경쟁률을 확인하세요
청약하는 날은 보통 2일 정도 기간입니다. 이때 어플을 이용하시거나 증권사 전화 상담을 통해서 실시간 경쟁률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첫날이 아닌 그다음 날에 경쟁률을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왜냐면 첫날엔 경쟁률이 낮거나 높아도 마지막 날이 되면서 몰리거나 더 이상 수요가 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경쟁률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마감날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 기관투자자들의 수요가 몰리는 종목에 주의하세요.
청약에는 수요예측이란 말이 있습니다. 수요예측이란 주식을 공모할 때 자금 여력이 큰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사전에 수요를 파악하는 의미인데요 기관투자자들의 수요에 따라서 최종 공모가가 정해지게 됩니다.
그런데 사전에 기관투자자들의 관심이 높거나 경쟁률이 셀 경우 일반 투자자들의 경쟁률도 세지게 됩니다. 또한 이런 종목들의 경우 관심이 높기 때문에 향후 코스닥이나 코스피에 상장된 후 개장 직후 초반 큰 폭으로 상승하거나 상승했다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기회를 잘 포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3. 증거금을 마련하세요.
청약을 하기 전 증거금이 필요합니다. 이때 청약 물량의 50%만 증권계좌로 입금하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가장 최근 청약이 끝난 종목인 에이치와이 시티란 종목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종목: 에이치와이 시티 / 공모가: 15,000원 / 희망 주식수: 100주
이런 경우 청약 증거금은 얼마일까요?? 계산을 해보면 15,000(공모가) x 100(희망 주식수)÷2= 75만 원이 됩니다.
즉, 단순 계산했을 땐 75만 원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경쟁자들이 존재하고 경쟁률이 높습니다. 보통 인기 있는 종목의 경우 1000대 1 이상입니다.
이 종목의 경우 대략 432대 1 이였는데요 만약 100주를 얻고 싶다면 증거금을 얼마를 넣으면 될까요??
100주 X432를 곱해주면 됩니다. 그럼 43,200주를 받을 만큼 증거금을 넣으면 됩니다.
그럼 공식은 이렇게 바뀝니다.
15,000(공모가) X43,200주÷2=3억 2천4백만 원입니다. 즉, 100주를 얻고 싶다면 3억 이상 증거금을 넣으면 됩니다.
4. 청약을 진행하세요.
이렇게 증거금을 준비했으면 청약을 하시면 됩니다. 대신 청약 마감날이 다가오면 경쟁률이 순식간에 높아질 수 있으니 눈치를 잘 봐가면서 얼마를 넣을 것인지 계획하시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5. 자신의 계좌에서 환불금이 제대로 들어왔는지 확인하세요.
환불금 계산은 비교적 쉽습니다. 공모가에서 희망 주식수를 곱하면 1백5십만 원인데요, 만약 처음 원했던 100주를 다 받았다면 3억 2천4백만 원에서 1백5십만 원을 뺀 322,500,000원이 계좌로 들어왔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공모주 청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혹시라도 주식에 대해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제 블로그 다른 글들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네요. 아래 링크에 제 글들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단타방법 (3부) 핸드폰으로 하는 단타비법. 시간외거래 단일가 거래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단타 이야기 3부입니다. 위에 보이는 사진이 어제 끝날 때 결과입니다. 2부를 못 보신 분들이 계셔서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저는 안전한 매매를 좋아하고 제가 사용하는
sunyinam.tistory.com
주식 거래량이 중요한 이유- 거래량을 이용한 단타 방법
주식 거래량이 중요한 이유- 거래량을 이용한 단타 방법
<거래량을 이용한 단타 방법> 오늘은 주식 단타에 있어서 거래량을 이용한 단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혹시 주가는 속일 수 있어도 거래량을 속일 수는 없다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sunyinam.tistory.com
주식 종목 앞글짜 의미는? / "신","경","열","투"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주식 종목 앞글짜 의미는? / "신","경","열","투"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오늘은 주식 관심종목을 보게 되면 앞쪽에 글씨가 나와 있는데 어떤 의미인지 평소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제가 정리해 봤습니다. 아래 사진은 종목 분류기호표라는 것인데 관심
sunyina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