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과 생활 정보

제철 봄나물은 약보다 낫다. 봄나물과 건강의 관계에 대하여

팡팡슈슈 2021. 4. 13. 19:17
반응형

고들빼기
고들빼기

만성피로에 시달리는 분들, 염증으로 고생하시거나 스트레스 많이 받으시는 분들은 제 철에 나는 봄나물만 잘 드셔도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어떻게 봄나물을 먹으면서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될까요?? 그전에 먼저 우리 몸이 왜 아픈지 그 이유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명리학에서는 소통이 잘 되지 않아서 몸이 아프게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소통이란 뜻은 막히지 않고 잘 흘러간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疏(소통할 소) + 通(통할 통) 자를 쓰게 됩니다.

 

그런데 이 소통할 소 글자는 두 글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疋(발소)+流(흐를 류) 이렇게 두 글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즉, 발로 걸어 다니는데 막힘없이 잘 흘러간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왜 아플까요??

발로 잘 걸어 다녀야 하는데 막혔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막혔을 때는 뚫어주면 되는데 그 뚫어주는 역할을 나물이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엔 한자로 나물 소 글자를 알아보겠습니다.

蔬(나물 소) 이 글자는 보시면 소통할 소 글자에 艹(풀초) 글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즉 "나물"이란 몸을 "소통"시키는 "풀"입니다.  불통즉통(不通則痛) = 통하지 않으면 아프고 통즉불통(通則不痛) 통하면 아프지 않다.라는 뜻입니다. 모든 질병은 소통이 잘 되느냐가 핵심입니다. 그런데 왜 하필 봄나물일까요?

봄은 春(춘)이라고 씁니다. 청춘(靑春)이란 단어의 뜻도 그렇지만 春(춘)이라는 단어의 뜻은 푸른색을 상징합니다. 그럼 봄은 어떤 기운이 있을까요?? 시작, 상승, 희망의 기운이 있습니다. 영리 학적으로 장생의 기운이 있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봄나물로는 달래, 냉이, 씀바귀, 고들빼기, 미나리, 곰치, 엉겅퀴, 질경이, 돌나물, 방풍나물, 원추리, 민들레까지 정말 다양한 봄나물이 있습니다. 

그럼 이런 봄나물들은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을까요?? 향을 음미하면서 오래 씹어 먹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봄나물의 특징은 향기로움입니다.

양념이 너무 많으면 고유의 향을 음미할 수 없으니 살짝 데쳐서 가장 기본적인 양념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봄나물을 밥과 함께 삼키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많이 씹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래 씹고 턱을 많이 움직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턱은 구조상 상악과 하악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양악이라고 부르는데 우리들이 음식을 씹을 땐 상악은 멈추고 입 아래쪽 하악이 움직이게 됩니다.  그런데 이 하악은 뇌를 지켜주는 머리 양쪽에 측두골(temporal)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하악은 영어로 mandibular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두 곳을 연결시키는 관절을 joint라고 합니다.

그래서 턱관절을 영어 약자로 "TMJ"라고 합니다. 즉 음식을 많이 씹으면 많이 씹을수록 TMJ가 많이 움직여지면서 뇌의 혈류량이 많아지게 됩니다.  

 

우리 몸의 모든 중추신경은 뇌와 척추입니다. 평상시 뇌는 모든 명령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혈액을 필요로 합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중력대로 살아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액도 중력의 영향에 의해서 다리 쪽으로 내려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평상시 계속 걸어 다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중에 영향을 받아서 혈액도 계속 내려갈 수밖에 없습니다. 혈액이 뇌 쪽으로 올라와야 뇌가 건강해지고 그에 따라서 다른 신체 기관들도 건강해질 수 있는데 혈액이 위로 올라오기는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음식을 많이 씹으면 씹을수록 중력을 뚫고 혈액을 뇌에 많이 공급해 줄 수 있습니다. 그것뿐만이 아니라 음식을 많이 씹으면 씹을수록 생명수와 같은 침이 많이 생겨나게 됩니다. 평소 우리가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침은 우리 몸에 최고의 보약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 보약과 같은 침을 제철에 나는 봄나물과 함께 한다면 봄나물과 침이 함께 어우러져 우리 몸에 막혔던 기운을 시원하게 뚫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심선생님의 봄나물 영상을 정리해 봤습니다. 앞으로도 심선생님의 좋은 강의 내용을 정리하여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더욱더 자세한 강의를  분들은 아래 심선생님의 영상 링크를 클릭하셔서 강의를 시청해주세요~!

www.youtube.com/watch?v=dAstEO4lwAU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