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윙매매 매수 타점 잡는 방법
오늘은 스윙매매에 있어서 매수 타점을 잡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종목 선정
먼저 당일 거래량이 높거나 최근 주식 흐름이 좋은 종목을 골라줍니다. 아래 보이는 종목은 2차 전지 관련주인 대주전자재료라는 종목입니다. 물론 당일 거래량이 많은 종목들 중에서 앞으로 전망도 좋고 회사 실적이 좋은 종목들일수록 좋습니다. 저의 경우엔 한 해 동안 이슈가 되거나 상승 가능성이 높은 카테고리를 우선적으로 선별한 다음 그 카테고리 안의 종목들 중에서 당일 거래량이 많이 나오는 종목으로 선정하는 방법을 자주 사용합니다.
2. 이격도가 가까워지고 저점이 높아지고 있는 곳을 노린다.
대주전자재료를 보면 이격도가 2021년 6월까지 좁혀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격도란 5일선, 20일선, 60일선의 간격을 말하는데 이 간격들이 좁아지면 다시 넓어지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좁아지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2021년 6월이 되면서 저점을 점점 높여가는 모습이 보이는데요 이렇게 20일선이 우상향을 하고 있고 이격도가 가까우며 저점이 높아지는 종목을 고르면 됩니다.
3. 매수 타점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 매수를 합니다.
이번엔 매수 타점입니다. 제가 그림상 표시한 곳이 매수 타점인데요 왜 이곳을 매수 타점으로 정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매수하기 전까지 꾸준히 우상향을 하고 있었고, 또한 중요한 위치인 전 고점을 돌파해줬기 때문입니다. 6월 18일 이후 전고점을 찍은 모습이 보이는데요 이렇게 전 고점을 찍고 주가가 아래로 떨어지다 60일선 지지를 받고 다시 상승해서 제가 표시를 한 곳에서 전 고점을 돌파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더구나 그 당시 거래량을 살펴보면 예전 거래량과 비교해서 월등히 높은 거래량을 보여줬는데요 이렇게 거래량이 터진 종목 중에서 전고점을 돌파한 경우 재차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4. 매수하기 전에 미리 손절 라인도 정하고 들어간다.
정말 중요한 점입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실적이 좋고 수급도 좋은 종목이라고 하더라도 손절라인을 정하고 들어가지 않으면 손실액이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은 시장 흐름에 따라서 크게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손절 라인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절라인은 20일선이 깨질 때까지 잡을 수도 있고 20일선 아래 60일선까지 잡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정하기 나름이지만 조금 타이트하게 20일선으로 잡고 간다면 손실액을 줄이면서 반대로 수익이 난다면 큰 수익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 그래프를 가지고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제가 표시한 곳이 매수 타점인데 이 매수 타점은 그래프상 전고점을 돌파해줬고 거래량도 터졌기 때문에 매수 타점으로 표시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만약 위 그래프처럼 상승하지 않고 하락한다면 10일선은 너무 가깝고 20일선(노란색)으로 잡고 들어갔을 것입니다. 물론 20일선을 깨더라도 다시 반등을 할 수도 있겠지만 상승해야 할 위치에서 상승하지 못하고 반대로 하락했다는 의미는 어떤 숨은 악재나 엄청난 매도 물량이 더 쏟아질 수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20일선이 깨진다면 손절할 계획을 가지고 접근했을 것입니다.
물론 손절하면 -3%나 -4%까지 될 수도 있겠지만 하락보다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서는 용기를 내어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5. 소액일 경우 손절하는 것이 아니라 분할매수도 할 수 있다.
소액일 경우라고 제가 말씀드리는 이유는 큰 금액으로 하면서 -(마이너스)가 계속된다면 정신적으로도 너무 힘이 들고 제대로 된 투자를 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에 맞는 금액대의 소액으로 투자를 할 계획이라면 손절 말고 분할 매수를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
대신 분할 매수하기 전에 확실하게 계획하고 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조건 매일매일 사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가격대까지 기다렸다 사는 것이 필요합니다.
위 종목을 예로 들면 20일선(약 5만 원)이 깨지면 제가 손절한다고 했는데 만약 소액으로 접근할 경우 분할 매수 관점으로 20일 선(5만 원)에서 추가로 매수하고 다시 20일선이 깨진다면 60일선(4만 7천 원) 부근에서 3차 추가 매수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매수하기 전에 돈을 미리 계획해서 나눠놓는 것이 필요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소액은 100만 원 정도입니다. 그러면 1차로 100만 원 정도를 매수하고 만약 주가가 오른다면 분할 매도를 하고 만약 떨어진다면 20일선(5만 원) 부근에서 다시 100만 원을 추가로 매수할 것입니다. 그러다 더 하락해서 떨어진다면 60일 선인 4만 7천 원 부근에서 다시 200백만 원을 추가 매수할 것입니다. 3차 매수할 때는 처음보다 투자금이 높아졌기 때문에 그에 비례해서 추가 매수금도 높였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3차 매수까지 계획했는데도 불구하고 만약 더 떨어진다면 그때는 더 이상 돈을 투자하지 않고 잠시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큰 장대음봉과 함께 거래량이 실린 매도 물량이 크게 나올 땐 바로 손절할 계획을 세우고 접근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계획을 세우고 접근한다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손실보다는 성공확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여러분들도 꾸준히 공부 열심히 하시고 매수하기 전에 계획 잘 세우셔서 좋은 성과 이루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추세선 매매방법과 주식 파동 특징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의 추세와 파동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그전에 주식의 파동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주식의 파동은 주식의 그래프에 의해서 만들어지게 됩
sunyinam.tistory.com